막심 타라소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심 타라소프는 소련, 독립 국가 연합, 러시아를 대표하여 활동한 장대높이뛰기 선수이다. 1988년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고,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93년, 1995년,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연달아 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1999년 세비야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6.02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정상에 올랐고,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6.05m의 개인 최고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부상으로 인해 2001년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남자 장대높이뛰기 선수 - 이고르 트란덴코프
이고르 트란덴코프는 러시아의 장대높이뛰기 선수이며, 올림픽 은메달 2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동메달,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은메달 등을 획득했으며, 개인 최고 기록은 야외 6.01m, 실내 5.90m이다. - 러시아의 남자 장대높이뛰기 선수 - 예브게니 루키야넨코
예브게니 루키야넨코는 러시아의 장대높이뛰기 선수로,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동메달, 개인 최고 기록 야외 6.00m와 실내 5.90m를 보유하고 2008년과 2012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 러시아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이반 우호프
러시아 높이뛰기 선수 이반 우호프는 세계 선수권 대회와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2012년 런던 올림픽 금메달 획득 후 도핑 위반으로 실격 및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다. - 러시아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안드레이 실노프
안드레이 실노프는 러시아의 높이뛰기 선수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며, 200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우승, IAAF 세계 육상 파이널 1위 등을 기록했으나, 도핑으로 인해 2013년 이후 기록이 무효 처리되었다. - 독립 국가 연합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올렉산드라 티모셴코
- 독립 국가 연합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바실리 쿠디노프
막심 타라소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막심 타라소프 |
원어 이름 | Максим Владимирович Тарасов |
로마자 표기 | Maksim Vladimirovich Tarasov |
출생일 | 1970년 12월 2일 |
출생지 | 야로슬라블, 소비에트 연방 |
국적 | (1988-1991) 22px 연합팀 (1992) }}} (1993-2000) |
키 | 1.94 m |
몸무게 | 80 kg |
종목 | 육상 |
세부 종목 | 장대높이뛰기 |
활동 기간 | 1988–2000 |
은퇴 | 2000 |
프로 전향 | 1988 |
개인 최고 기록 | 6.05 m (1999년) |
올림픽 메달 | |
1992년 바르셀로나 | 장대높이뛰기 금메달 (22px 연합팀) |
2000년 시드니 | 장대높이뛰기 동메달 (}}}}) |
세계 선수권 메달 | |
1991년 도쿄 | 장대높이뛰기 동메달 () |
1999년 세비야 | 장대높이뛰기 금메달 (}}}}) |
1995년 예테보리 | 장대높이뛰기 은메달 (}}}}) |
1997년 아테네 | 장대높이뛰기 은메달 (}}}}) |
1993년 슈투트가르트 | 장대높이뛰기 동메달 (}}}}) |
유럽 선수권 메달 | |
1998년 부다페스트 | 장대높이뛰기 금메달 |
2. 선수 경력
막심 타라소프는 1987년 소련 육상 대표팀에 합류하여 국제 무대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88년 세계 주니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2위를 하고,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기록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하고,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대회 신기록(당시 기준)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정상에 올랐다.
1996년 IAAF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우승했고, 1998년에는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IAAF 그랑프리 파이널, IAAF 육상 월드컵에서 모두 우승하며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2001년 심각한 부상으로 은퇴했다.
그는 소련, 연합팀, 그리고 러시아를 대표하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개인 최고 기록은 6.05m로, 이는 역대 선수 순위 4위에 해당한다.[1]
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결과 | 기록 |
---|---|---|---|---|---|
1988 | 세계 주니어 선수권 | 서드베리 (캐나다) | 장대높이뛰기 | 2위 | 5.60m |
1991 | 세계 선수권 | 도쿄 (일본) | 장대높이뛰기 | 3위 | 5.85m |
1992 | 올림픽 | 바르셀로나 (스페인) | 장대높이뛰기 | 1위 | 5.80m |
1993 | 세계 선수권 | 슈투트가르트 (독일) | 장대높이뛰기 | 3위 | 5.80m |
1993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런던 (영국) | 장대높이뛰기 | 3위 | 5.80m |
1995 | 세계 선수권 | 예테보리 (스웨덴) | 장대높이뛰기 | 2위 | 5.86m |
1995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몬테카를로 (모나코) | 장대높이뛰기 | 3위 | 5.80m |
1996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밀라노 (이탈리아) | 장대높이뛰기 | 1위 | 5.90m |
1997 | 세계 실내 선수권 | 파리 (프랑스) | 장대높이뛰기 | 3위 | 5.80m |
1997 | 세계 선수권 | 아테네 (그리스) | 장대높이뛰기 | 2위 | 5.96m |
1997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후쿠오카 (일본) | 장대높이뛰기 | 2위 | 6.00m |
1998 | 유럽 선수권 | 부다페스트 (헝가리) | 장대높이뛰기 | 1위 | 5.81m |
1998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모스크바 (러시아) | 장대높이뛰기 | 1위 | 5.95m |
1998 | IAAF 육상 월드컵 | 요하네스버그 (남아프리카 공화국) | 장대높이뛰기 | 1위 | 5.85m |
1999 | 세계 선수권 | 세비야 (스페인) | 장대높이뛰기 | 1위 | 6.02m |
1999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뮌헨 (모스크바) | 장대높이뛰기 | 1위 | 5.85m |
2000 | 올림픽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장대높이뛰기 | 3위 | 5.90m |
2. 1. 초기 경력
1987년 소련 육상 대표팀에 합류했고, 다음 해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5.60m로 2위를 하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렸다.[1] 도쿄에서 열린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5.85m로 3위를 하였다.[1]
2. 2. 올림픽 금메달 (1992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5.80m의 기록으로 팀 동료 이고르 트란덴코프를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1] 당시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세르게이 부브카는 결선에서 모든 시기를 실패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2. 3.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의 활약 (1993년 ~ 1999년)
타라소프는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림)에서 5.80m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예테보리에서 열림)와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아테네에서 열림)에서는 각각 5.86m와 5.96m를 기록하며 은메달을 획득, 세계 선수권 6연패를 달성한 세르게이 부브카에 이어 2인자 이미지를 굳혔다. 1999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세비야에서 열림)에서는 6.02m의 대회 신기록(당시 기준)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정상에 올랐다.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기록 |
---|---|---|---|---|
1993 | 세계 선수권 대회 | 슈투트가르트 | 3위 | 5.80m |
1995 | 세계 선수권 대회 | 예테보리 | 2위 | 5.86m |
1997 | 세계 선수권 대회 | 아테네 | 2위 | 5.96m |
1999 | 세계 선수권 대회 | 세비야 | 1위 | 6.02m |
2. 4. 그랑프리 파이널 및 유럽 선수권 대회 (1996년 ~ 1998년)
타라소프는 1996년 밀라노에서 열린 1996년 IAAF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5.90m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1] 1998년에는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1998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5.81m로 금메달을 획득했고,[1] 모스크바에서 열린 1998년 IAAF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5.95m로 다시 한번 우승하며[1] 전성기를 구가했다. 같은 해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된 IAAF 육상 월드컵에서 5.85m로 우승했다.[1]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기록 |
---|---|---|---|---|
1996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밀라노 (이탈리아) | 5.90m | |
1998 | 유럽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헝가리) | 5.81m |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모스크바 (러시아) | 5.95m | ||
IAAF 육상 월드컵 | 요하네스버그 (남아프리카 공화국) | 5.85m |
2. 5. 올림픽 동메달 및 은퇴 (2000년 ~ 2001년)
2000년 하계 올림픽에 러시아 대표로 출전하여 5.90m로 동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에서 두 개의 메달을 획득한 선수가 되었다.[1] 심각한 부상으로 인해 2001년에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3. 주요 성적
연도 | 대회 | 개최지 | 순위 | 기록 |
---|---|---|---|---|
1988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서드베리, 캐나다 | 2위 | 5.60 m |
1991 | 세계 선수권 대회 | 도쿄, 일본 | 3위 | 5.85 m |
1992 | 올림픽 | 바르셀로나, 스페인 | 1위 | 5.80 m |
1993 | 세계 선수권 대회 | 슈투트가르트, 독일 | 3위 | 5.80 m |
1995 | 세계 선수권 대회 | 예테보리, 스웨덴 | 2위 | 5.86 m |
1996 | IAAF 그랑프리 파이널 | 밀라노, 이탈리아 | 1위 | 5.90 m |
1997 | 세계 실내 선수권 대회 | 파리, 프랑스 | 3위 | 5.80 m |
세계 선수권 대회 | 아테네, 그리스 | 2위 | 5.96 m | |
1998 | 유럽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헝가리 | 1위 | 5.81 m |
1999 | 세계 선수권 대회 | 세비야, 스페인 | 1위 | 6.02 m |
2000 | 올림픽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3위 | 5.90 m |
4. 개인 최고 기록
참조
[1]
IAAF
Official All Time Top List
http://www.iaaf.org/[...]
[2]
문서
Maksim Vladimirovich Taras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